Forked Self – From Unrealized Pasts
※ This model is an experimental generative tool that explores the stylistic paths the artist did not choose—offering a way to imagine and construct an alternate version of MrMisang.
(Model URL)
This model, Forked Self, was trained on two distinct groups of works.
Group A: A selection of more recent pieces that represent a cohesive theme and style—some of my most defining works to date:
- Masked Workers, Space Hardrock Machine, and Jack of Clubs (PlayingArts collection)
- Masked Workers, Space Hardrock Machine, and Jack of Clubs (PlayingArts collection)

(Image – Masked Workers...)
Group B: A body of earlier works created roughly between 2011 and 2020. Most of these have never been minted as NFTs and likely never will be. A few were minted experimentally in the early NFT era but were never intended for sale. These pieces were made before I had established a consistent theme or visual identity.
Over nearly a decade of making the works in Group B, I continuously experimented with line, color, composition, and narrative.
The use of inked outlines, cel-animation-style coloring, and subtle gradients remained constant, but the characters, subject matter, and visual density evolved constantly. After that long period of exploration, I eventually made a decision to narrow my direction—both thematically and stylistically. That decision led to the creation of the Modern Life is Rubbish and Masked Workers series.

(Modern Life is Rubbish image – not used in training Forked Self), (Masked Workers image – used in training Forked Self)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se series, I drew influence from a wide range of sources—Hergé’s Tintin, Moebius, documentary photographs from the Great Depression, classic American comics and European graphic novels that began circulating in Korea during my teenage years… as well as countless failed attempts, passing visual fragments lodged in memory, novels, music. Even commercial work—advertising illustrations, toy packaging graphics I created to make a living—all simmered together in a single pot, forming what would become my current style.
When TITLES first approached me to create an AI model, I faced three fundamental questions:
First, how accurately can AI replicate an artist’s style?
Second, is an artist’s style ever truly fixed?
Third, is it even meaningful to create an AI model as a “style replicator”?
Second, is an artist’s style ever truly fixed?
Third, is it even meaningful to create an AI model as a “style replicator”?
First. AI is a powerful tool, but not an omnipotent one. Based on a limited number of artworks (in my case, a few dozen), it is impossible to fully replicate the breadth of an artist’s style. The images generated by AI are often more polished, more technically refined—even with the glitches that still appear. But they don’t feel entirely like my work. My illustrations are layered with technical imperfection, doubt, emotion, and hazy intuition.
Second. An artist’s style is never static. Both my 2021 Modern Life is Rubbish series and the more recent Life is a Theme Park were created by my hand. Yet their components—color palettes, layouts, character designs—differ drastically. My style will continue to evolve in the future. So any attempt to "replicate" it at this fixed moment would amount to a kind of taxidermy. Confronting that strange, frozen version of myself was discomforting.

(Image – comparing the two series)
Third. Even if I were to succeed in building a perfect AI model that resolved the above two issues—what then?
To me, drawing has always been an act of enduring discomfort. Driving a car to cover 42 kilometers makes perfect sense. But many still choose to run that distance with their own legs. I’m not trying to romanticize human effort. For outcomes that simply need to be achieved, appropriate tools should be used.
But the joy that comes from pushing your own limits doesn’t disappear—it only changes shape.
An AI model that functions solely as a "style replicator" risks cutting off that joy at its root.
An AI model that functions solely as a "style replicator" risks cutting off that joy at its root.
So I turned to what I believe is the true nature of AI—its probabilistic core. AI is, at heart, a machine of probability. Had my past experiments taken a different trajectory, I might have become a completely different kind of artist. And AI now allows us to simulate what those other fully-realized versions might have looked like.
Forked Self was trained on a mix of my recent and earlier works to explore questions like:
“Who might I have become, if those past experiments had resolved differently?”
“What other future lay at the end of those discarded paths?”
“What other future lay at the end of those discarded paths?”
In this sense, the model was not designed to replicate or mimic my most current, refined style.
Rather, it blends a selection of my defined works with the vast fragments of unchosen possibilities—constructing, through the unique logic of AI, a new version of “MrMisang.”
Forked Self is a creative engine that summons the unrealized possibilities of the past into the tools of the present.
It is a re-creation of paths I never walked—and a launchpad toward futures you might now explore. I hope you use this model to complete, with your own hands, the pictures I never drew.
-MrMisang.
🇰🇷(KR)
※ 이 모델은, 작가가 선택하지 않았던 과거의 가능성들을 따라가며 또 다른 ‘미상’을 만들어보는 실험적 생성 도구입니다.※
(Model URL)
(Model URL)
이 모델 Forked Self는 두 그룹의 작품들을 기반으로 훈련되었다.
그룹 A : 비교적 최근의 작품들로, 다음 세 작품이 포함되어 있다. 일관된 테마와 형식을 갖추었고, 자랑스러운 대표작들 중 일부다. : Masked Workers, Space Hardrock Machine, Jack of Clubs(PlayingArts collection)

그룹 B : 대략 2011년-2020년 사이에 제작된 과거 작품들로, 대부분은 NFT로 발행된 적 없으며, 앞으로도 그럴 계획이 없다. 이 중 극히 일부는 NFT씬 초기에 미판매 목적으로, 실험적으로 발행되었다. 아직 일관된 테마와 스타일을 갖추기 이전의 작품들이다.그룹 B를 그리던 10년 가까운 시간 동안 나는 꾸준히 선과 색, 구조와 서사를 실험하고 탐구했다. 펜선으로 경계를 나눈 오브젝트, 셀 애니메이션식 채색, 미묘한 그라디언트 등은 계속 유지되었지만, 등장인물의 형태나 주제, 화면의 밀도는 끊임없이 달라졌다. 이 긴 시기를 지나며 나는 마침내 스타일과 주제를 하나의 방향으로 좁히기로 결심했다. 그 결과 나온 것이 Modern Life is Rubbish 시리즈와 Masked Workers 시리즈다.

(Modern Life is Rubbish 시리즈 이미지. - 이 시리즈는 Forked Self 모델 훈련에 사용되지 않았다.)(Masked Workers 이미지 - Forked Self 모델 훈련에 사용되었다.)
이 연작을 준비하는 동안, 나는 많은 작품들에 영향을 받았다. 에르제의 TinTin, 뫼비우스, 대공황 시절의 다큐 사진들, 내 사춘기 시절 한국에 수입되기 시작했던 미국 고전 만화들과 유럽의 그래픽 노블들… 수많은 시도와 실패, 스쳐가듯 머리에 박힌 이미지들, 소설들, 음악들. 생계를 위해 제작했던 각종 광고 일러스트들, 유아용 장난감 패키지 그림들… 이 모든 것들이 하나의 냄비에서 끓어오르듯, 내 현재의 스타일을 만들었다.
처음 TITLES로부터 AI모델 제작을 제안 받았을 때, 나는 세 가지 고민에 빠졌다.
첫째. AI는 작가의 스타일을 얼마나 정확하게 복제할 수 있는가?
둘째, 애초에 ‘작가의 스타일’이란 고정된 것인가?
셋째, ‘스타일 복제기로서의 AI모델’을 만드는 것이 정말 의미 있는 일인가?
첫째. AI는 매우 좋은 도구지만, 전능한 도구는 아니다. 제한된 수의 작품(내 경우는 수십점)을 기반으로, 한 작가의 전체 스타일을 완벽히 재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AI가 만들어낸 이미지들은 종종 기술적으로 더 정제되어 보인다. 아직도 많이 발생하는 글리치를 포함하더라도, 큰 관점에서는 그렇다. 하지만 그것이 온전히 내 작업처럼 느껴지지는 않는다. 내 그림들에는 기술적 불완전함, 고민, 감정, 그리고 흐릿한 직관이 레이어로 쌓여있다.
둘째. 작가의 스타일은 멈추지 않고 변한다. 내 2021년작인 Modern Life is Rubbish 시리즈와, 비교적 최근작인 Life is a Theme Park 시리즈는 모두 내 손에서 탄생했다. 그러나 요소들을 자세히 뜯어보면, 색체, 레이아웃, 인물 묘사 방식 등 디테일은 서로 아주 다르다. 이처럼 내 작품 스타일은 미래에도 계속 바뀔 것이다. 그렇다면, 지금 시점의 스타일을 ‘복제’ 하는 AI는 결국 ‘작가의 박제’일 수 밖에 없다. 나는 그 기이한 박제품을 마주하는 것이 어딘가 불편하고 낯설었다.

(이미지 - 두 시리즈 비교)
셋째. 만일 첫째와 둘째를 기술적으로 잘 해결한 완벽한 AI모델을 제작하는데 성공한다고 가정하더라도, 거기에서 어떤 의미를 찾아야 할 지 모르겠다. 적어도 내게, 그림을 그린다는 행위는 ‘고통을 감수’ 하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42km의 거리를 빨리 이동하기 위해 자동차를 타는 것은 매우 합리적이고 권장할만한 행위다. 그렇지만 많은 사람들은 두 다리로, 두 시간에 걸쳐 그 거리를 달린다. 섣불리 인간찬가를 말하려는 것이 아니다. 결과만이 필요한 많은 경우에는, 적절한 도구를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스스로의 한계를 갱신하는데에서 오는 즐거움은 형태를 달리할 뿐 영원히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스타일 복제기로서의 AI모델’은 자칫 이러한 즐거움을 거세해버릴 가능성이 있다.
나는 위의 문제들에 대해 고민하다가, AI의 본질인 ‘확률적 본성’에 주목했다. AI는 본질적으로 확률기계다. 내 과거의 실험들이 만일 다른 방식으로 축적되었다면, 나는 현재 전혀 다른 스타일을 구현하는 작가가 되었을지도 모른다. 그리고 AI는 그런 ‘다른 가능성의 완성된 스타일’들을 지금 이 자리에서 시뮬레이션 할 수 있게 한다.
Forked Self는 내 최근 작품들 일부와 다수의 과거 작품들을 사용해, 다음을 탐색하는 도구다. :
“그 시도들이 다른 방식으로 완성되었다면, MrMisang은 어떤 스타일을 갖췄을까?”
“그 과거의 갈래 끝에는 어떤 또 다른 미래가 있었을까?”
즉, 이 모델은 현재 MrMisang이 구현하는 가장 최근의 정제된 스타일을 복제하거나 모방하도록 설계되어 있지 않다. 대신, 이 모델은 내가 선택했던 몇몇 확립된 작업들과, 선택하지 않았던 수많은 가능성의 파편들을 함께 학습하여, AI만의 방식으로 또 하나의 ‘MrMisang’을 구성해낸다.
Forked Self는 ‘과거의 미실현 가능성’을 오늘의 도구로 소환하는 창조적 엔진이다.
그것은 내가 가보지 않은 과거의 재현이자, 당신이 완성할 수도 있는 또 다른 미래의 출발점이다.
나는 당신이 이 모델을 통해, 내가 그리지 않았던 미래의 그림을 당신의 손으로 완성해보길 바란다.
나는 당신이 이 모델을 통해, 내가 그리지 않았던 미래의 그림을 당신의 손으로 완성해보길 바란다.
-미스터 미상.